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등 많은 도서 판매 업체가 있지만 저는 예스24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보고 싶은 책이 있는데 실물로 구매하기보단 이북(e-book)으로 구매해서 이북리더기로 읽고 싶어서 구매를 하려는데...
무슨 디지털머니를 충전해야만 이북(e-book)을 구매가능하다고 합니다. 예스 24만 그런건가요? 도대체 왜 바로 결제를 하면 되는데 디지털머니를 충전해야 구매가 가능한 건지 이해가 안 갔습니다.(이유를 알고 있는 방문자 분은 꼭! 댓글 부탁드립니다.)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는 말이 있듯이 내가 필요하면 법을 따라야지 무슨 방법이 있겠습니까? 디지털 머니를 충전하면서 추가로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을 발견했고 손해보지 않고 디지털 머니를 충전하는 법을 공유하고자 포스팅 진행하겠습니다.
예스24 디지털머니 안드로이드/IOS 어플을 통해서 충전하면 안 되는 이유
아이폰을 쓰고 있기 때문에 아이폰에 있는 예스24 어플을 통해 디지털머니를 충전하러 진행하였습니다. 디지털 머니를 충전하려고 했더니 내가 원하는 금액을 충전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금액단위가 정해져 있는데 10,000원을 제외하고는 충전할 금액이 단위가 이상하였습니다.
가장 최소 단위인 3,660원을 눌렀더니 실제 결제할 금액은 4,400원? 정말 어이가 없어서 디지털머니 충전 안내를 읽어보는데 "IOS 앱 내에서 충전 시 1.2배의 환율이 적용됩니다"란 문구가 보입니다.
예전부터 동일한 어플 구매나 앱내 결제 시 애플의 IOS 기반에서 금액이 더 비쌌던 것을 기억해서 안드로이드는 얼마나 저렴한가? 궁금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안드로이드 폰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갤럭시의 예스24 어플로 디지털 머니 충전에 도전하였습니다. 안드로이드의 예스24 어플에서 디지털머니 충전은 충전할 금액 단위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던 단위였습니다.
이미 IOS에서 당한 경험이 있으니 일단 최소 금액인 3,000원을 눌러봅니다. 으잉? 이것도 10%가 붙어서 결제할 금액은 3,300원이 되네요. "안드로이드 앱 내에서 충전 시 1.1배의 환율이 적용됩니다"란 문장이 보입니다. 애플에 비해서 0.1배 낮기도 하고 부가가치세에 익숙한 대한민국 국민이기에 결제를 하려다가 문득 궁금하였습니다. 현금처럼 사용하는데 10%의 추가 비용을 내야 하는 걸까? 이런 궁금증이 저를 호구의 길에서 벗어나게 해주었습니다.
그래서 추가 금액 없이 예스24 디지털머니를 충전하는 최고의 방법은?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예스24 어플을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서 예스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로그인을 하고 디지털 머니 충전 메뉴에 들어가서 충전을 진행하다가 충격을 받고 말았습니다. 어플을 이용하지 않고 브라우저로 접속했더니 추가 결제 금액도 없는데 금액을 많이 충전할수록 보너스까지 주는 것이었습니다.
10,000원을 충전하였는데 수수료도 없고 보너스 800원까지 받았습니다.
아이폰이던 갤럭시던 예스24 전용어플을 이용해서 충전했다면 큰 금액은 아니지만 손실을 볼 수 있었는데 단지 전용 어플이 아니라 브라우저를 통해서 충전을 했더니 수수료도 없고 보너스까지 준다? 이건 이용을 안 할 수가 없습니다. 쉽고 편하고 익숙하단 생각에 예스24 어플에서 디지털 머니를 충전하여 호구가 되지 마시고 꼭!! 핸드폰이나 노트북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예스24 로그인 후 디지털 머니 충전하여 수수료도 내지 말고 보너스도 챙기시기 바랍니다.
'리뷰의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얼랍스터 더빅 바닷가재맛 VS 랍스터킹 간식으로 좋은 맛살 비교!! (0) | 2024.11.13 |
---|---|
더 미식 장인라면 얼큰한맛은 과연 사먹을만 할까? (0) | 2024.11.04 |
겨울이면 생각나는 영화 '러브레터' 후지이 이츠키 아역 사카이 미키 최근 출연작 및 근황 (0) | 2022.12.18 |
KBL 안양 KGC 인삼공사 안양 종합운동장 남자 농구 경기 예매 및 관람 리뷰 (0) | 2022.12.02 |
KT M모바일(엠모바일) 신한 SOL(쏠) 요금제 커피쿠폰 사용 방법 (0) | 2022.11.15 |